기초생활수급자 달라지는 지원 정책 총정리 바로가기, 오늘은 2025년도에 크게 달라지는 기초생활보장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. 최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내용을 바탕으로, 실제 수급자분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쉽게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먼저 가장 큰 변화는 기준 중위소득이 크게 인상된다는 점입니다. 2015년 맞춤형 급여체계로 전환된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데요. 실제로 어느 정도 오르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
✨ 기준 중위소득 인상 내역
- 4인 가구 기준 : 572만 9,913원 → 609만 7,773원 (6.42% 인상)
- 1인 가구 기준 : 222만 8,445원 → 239만 2,013원 (7.34% 인상)
현재 전체 수급가구의 약 74%가 1인 가구라는 점을 감안하면, 이번 인상은 상당히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
👇
✨ 급여별 선정기준 상세 분석
기초생활보장제도는 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 등 각각의 급여마다 다른 선정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. 2025년에는 각 급여별로 어떤 기준이 적용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1. 생계급여 (중위소득의 32%)
- 1인 가구 : 76만 5,444원
- 2인 가구 : 125만 8,451원
- 3인 가구 : 160만 8,113원
- 4인 가구 : 195만 1,287원
- 5인 가구 : 227만 4,621원
- 6인 가구 : 258만 738원
2. 의료급여 (중위소득의 40%)
- 1인 가구 : 95만 6,805원
- 2인 가구 : 157만 3,063원
- 3인 가구 : 201만 141원
- 4인 가구 : 243만 9,109원
- 5인 가구 : 284만 3,277원
- 6인 가구 : 322만 5,922원
3. 주거급여 (중위소득의 48%)
- 1인 가구 : 114만 8,166원
- 2인 가구 : 188만 7,676원
- 3인 가구 : 241만 2,169원
- 4인 가구 : 292만 6,931원
- 5인 가구 : 341만 1,932원
- 6인 가구 : 387만 1,106원
4. 교육급여 (중위소득의 50%)
- 1인 가구 : 119만 6,007원
- 2인 가구 : 196만 6,329원
- 3인 가구 : 251만 2,677원
- 4인 가구 : 304만 8,887원
- 5인 가구 : 355만 4,096원
- 6인 가구 : 403만 2,403원
👇
✨ 주요 제도개선 사항 상세 분석
2025년에는 단순한 금액 인상을 넘어서 여러 가지 의미 있는 제도 개선이 이뤄집니다. 각각의 변화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👉 2025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사업안내서 다운로드 하기
1. 기초생활수급자 자동차재산 기준 완화
기존에는 1,600cc 미만이면서 차령 10년 이상 또는 200만원 미만의 차량에 대해서만 일반재산 환산율 4.17%를 적용했는데요. 2025년부터는 이 기준이 크게 완화됩니다.
- 기존 : 1,600cc 미만, 200만원 미만
- 변경 : 2,000cc 미만, 500만원 미만
실제 사례를 들어보면, 소득이 150만원이고 1,999cc, 450만원짜리 자동차를 가진 4인 가구의 경우:
- 기존 : 차량가액 전체가 소득으로 환산되어 수급 탈락
- 변경 : 차량가액의 4.17%인 19만원만 소득으로 환산되어 수급 가능
2. 기초생활수급자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
부양의무자 기준도 크게 완화됩니다.
- 기존 : 연 소득 1억원 또는 일반재산 9억원 초과 시 수급 탈락
- 변경 : 연 소득 1.3억원 또는 일반재산 12억원 초과 시 수급 탈락
3. 기초생활수급자 노인 근로소득 공제 확대
노인의 경제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근로소득 공제 혜택이 확대됩니다.
- 기존 : 75세 이상 추가공제(20만원+30%)
- 변경 : 65세 이상 추가공제(20만원+30%)
실제 사례로, 월 소득 100만원인 68세 1인 가구의 경우:
- 기존 : 소득인정액 70만원으로 생계급여 1만원 수급
- 변경 : 소득인정액 56만원으로 감소하여 약 20만원의 생계급여 수급 가능
👇
✨ 주거급여 세부 지원 내용
임차가구 기준임대료 인상
지역별, 가구원수별로 차등 적용되며, 1.1만원에서 2.4만원까지 인상됩니다.
1급지(서울) 기준
- 1인 가구 : 35.2만원 (+1.1만원)
- 2인 가구 : 39.5만원 (+1.3만원)
- 3인 가구 : 47.0만원 (+1.5만원)
- 4인 가구 : 54.5만원 (+1.8만원)
- 5인 가구 : 56.4만원 (+1.9만원)
- 6인 가구 : 66.7만원 (+2.1만원)
2급지(경기·인천) 기준
- 1인 가구 : 28.1만원 (+1.3만원)
- 2인 가구 : 31.4만원 (+1.4만원)
- 3인 가구 : 37.5만원 (+1.7만원)
- 4인 가구 : 43.3만원 (+1.9만원)
- 5인 가구 : 44.8만원 (+2.0만원)
- 6인 가구 : 53.1만원 (+2.4만원)
자가가구 주택수선비용 인상
최근 4년간의 건설공사비 상승률을 반영하여 29% 인상됩니다.
- 경보수(3년) : 590만원 (기존 457만원)
- 중보수(5년) : 1,095만원 (기존 849만원)
- 대보수(7년) : 1,601만원 (기존 1,241만원)
👇
✨ 교육급여 지원 확대
교육활동지원비 인상
2025년 교육활동지원비가 학교급별로 약 5% 인상됩니다.
- 초등학교 : 48만 7,000원 (전년 대비 +2.6만원)
- 중학교 : 67만 9,000원 (전년 대비 +2.5만원)
- 고등학교 : 76만 8,000원 (전년 대비 +4.1만원)
추가로 무상교육 제외 고등학교 재학생의 경우:
- 입학금 및 수업료 전액 지원
- 교과서비 실비 지원
👇
✨ 의료급여 제도 개선사항
1. 기초생활수급자 본인부담 체계 개편
17년 만에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전환됩니다.
외래진료 본인부담률
- 1종 수급자
- 의원급 4%
- 병원·종합병원 6%
- 상급종합병원 8%
- 2종 수급자 : 의원급 4%
- 약국 : 2%
단, 2.5만원 이하 진료는 현행 정액제가 유지되며, 약국 부담금액은 5천원으로 상한이 설정됩니다.
2. 건강생활유지비 인상
본인부담 개편에 따른 부담을 줄이기 위해 건강생활유지비가 2배 인상됩니다.
- 기존 : 월 6천원
- 변경 : 월 1만 2천원
3. 의료이용 관리제도 개선
- 연간 365회 초과 외래진료 시 본인부담 차등제 도입
- 단, 아동, 임산부, 희귀난치성질환자 등은 예외 적용
- 외래·입원·투약 일수를 분리하여 개별 관리
👇
✨ 기대효과 및 향후 전망
이번 제도 개선을 통해 약 7만 1천명이 새롭게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 특히 다음과 같은 긍정적 효과가 기대됩니다:
- 저소득층 생활수준 향상
-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인한 수급액 증가
- 각종 기준 완화로 인한 신규 수급자 발생
- 노인층 경제활동 지원
- 근로소득 공제 연령 하향으로 노인 일자리 참여 촉진
- 소득활동과 급여 수급의 균형 개선
- 의료 접근성 강화
- 합리적 의료이용 체계 구축
- 건강생활유지비 인상으로 의료비 부담 경감
- 주거환경 개선
- 임차가구 지원금 현실화
- 자가가구 수선비용 현실화로 주거 품질 향상
이러한 변화는 현 정부의 약자복지 강화 기조를 반영한 것으로,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저소득층의 생활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👇
✨ 기초생활수급자 신청 방법
이러한 지원을 받고자 하시는 분들은 다음과 같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:
- 신청 장소 : 거주지 관할 읍·면·동 주민센터
- 필요 서류
- 신청서
- 금융정보제공 동의서
- 소득·재산 관련 서류
- 가족관계증명서
- 통장사본
- 문의처
- 보건복지상담센터 : 129
- 주거급여 콜센터 : 1600-0777
- 교육급여 : 각 시·도 교육청
자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(www.mohw.go.kr), 지역 주민센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👇
✨ 기초생활수급자 2025 정책
2025년 기초생활보장제도는 그 어느 때보다 큰 폭의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. 특히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대 폭으로 인상되고, 각종 제도적 기준이 완화된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.
보건복지부 장관은 “현 정부의 약자복지 강화 기조에 따라 기준 중위소득을 6.42% 인상하여 현 정부 출범 이후 3년 연속 역대 최대 수준으로 결정하였다”며, “어려운 경기상황에서도 저소득층의 생활이 한층 나아질 수 있기를 바란다”고 밝혔습니다.
이러한 제도 개선이 실제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, 앞으로도 더 나은 복지제도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기를 기대합니다.
✨ 더 많은 정보 보러가기
✅ 착한운전 마일리지 혜택부터 신청방법까지 한 번에 알아보기
✅ 시티즌코난 앱 설치 사용방법 보이스피싱 대응 방법 바로가기
✅ 카카오 택시 앱 설치부터 탑승까지 모든 과정 따라할 수 있는 완벽 가이드 바로가기